대기업들 “근로시간 단축으로 애로 가장 큰 부서는 생산현장”_근육량을 얻는 데 얼마나 걸립니까_krvip

대기업들 “근로시간 단축으로 애로 가장 큰 부서는 생산현장”_스타 베팅 룰렛을 플레이하는 방법_krvip

주당 최대 52시간 근무제의 시행이 채 한 달도 남지 않은 가운데 대기업들은 이 제도로 가장 애로를 많이 겪을 부서로 생산현장인 공장을 꼽았습니다.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대책은 근로시간 유연화가 주로 지목됐습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다음 달부터 근로시간을 단축해야 하는 기업 112곳을 상대로 제도 시행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근로시간 단축으로 가장 애로를 많이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서(복수응답)는 응답 기업의 72.3%(81곳)가 생산현장인 공장을 꼽았다. 그다음으로는 연구개발 부서(22.3%), 영업 부서(19.6%), 인사 부서(13.4%)의 순이었습니다.

응답한 기업의 55.4%(62곳)는 근로시간 단축이 영업이익 등 전반적인 경영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19.6%(22곳)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고, 영향이 없다는 응답도 25%였습니다.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는 '근로시간 단축으로 축소된 임금에 대한 노조의 보전 요구'(35.7%), '생산성 향상 과정에서 노사 간 의견 충돌'(35.7%), '계절적 요인 등 외부 수요 변화에 따른 생산조절 능력 저하'(29.5%) 등의 순이었습니다. 또 '종업원 추가고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28.6%), '신제품 개발·연구개발 기능 저하'(15.2%), '협력업체 납기 지연에 따른 생산 차질'(10.7%) 등도 애로사항으로 꼽혔습니다.

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주요 대응계획(복수응답)으로 '생산성 향상 대책 추진'(74.1%)을 1순위에 올렸습니다. '신규 인력 채용'(27.7%), '일부 업무 외주화'(12.5%), '해외공장 이전 검토'(1.8%)가 뒤를 이었습니다.

생산성 향상을 주요 대책으로 답한 기업(83곳)에 다시 구체적인 대책을 물은 결과(복수응답) 사무·연구개발 분야에 대해서는 '유연근무시간제 실시'(54.2%), '집중근로시간제 실시'(43.4%), '칼퇴근 문화 정착'(34.9%), '회의시간 축소'(25.3%) 등을 차례로 제시했습니다. 또 생산현장의 경우 '교대제 개편'(50.6%), '근로시간 유연화'(32.5%), '스마트공장 추진'(31.3%), '인력 전환 배치'(22.9%) 등이 대책으로 꼽혔습니다.

기업들은 근로시간 단축을 한국 노동시장에 연착륙시키기 위한 제도 보완방안(복수응답)으로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 연장'(57.1%, 64곳)을 가장 많이 지적했습니다. 그다음으로는 '근로시간 저축제도 도입'(33.9%), '생산성에 상응하는 임금 체계 구축 지도'(32.1%), '화이트칼라 이그젬션 도입'(19.6%), '연장근로수당 할증률 인하'(13.4%) 등을 꼽았습니다.

근로시간 저축제란 연장·야간·휴일근로에 대해 임금 지급 대신 유급휴가를 적립해 휴가로 사용하는 것을 일컫습니다. 또 화이트칼라 이그젬션 제도는 일정 수준 이상 소득을 받는 관리직·행정직·연구개발 등 전문직·컴퓨터직·외근 영업직에 대해 초과근로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제도입니다.

[사진출처 : 게티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