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위험지표 상승…세계 곳곳이 흔들린다_베토 카레로에는 동물원이 있어요_krvip

韓 위험지표 상승…세계 곳곳이 흔들린다_카지노 해변의 섹시한 여자들 ㅋㅋㅋ_krvip

한국 금융시장의 위험지표가 불안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유럽 국가들에 대한 무더기 신용등급 강등은 한국의 위험지표를 높여 금융시장의 불안을 다시 가중시킬 수 있다. 세계 경제도 곳곳에 지뢰투성이다. 유럽 경제는 이번 신용등급 강등으로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자금조달의 어려움이 가중돼 일부 국가는 채무불이행(디폴트)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그나마 순항 중인 미국 경제도 유럽 상황이 악화하면 발목을 잡힐 수 있다. 올해 선거정국에 따른 물가 불안이 커지는 상황에서 미국과 이란 간 갈등으로 유가급등 가능성이 제기되는 점 등도 한국 경제의 커다란 부담 요인이 되고 있다. ◇ 대외변수 불안에 韓 위험지표도 들썩 15일 국제금융센터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의 2014년 4월 만기 외국환평형기금채권 가산금리는 지난 13일 기준 175bp(1bp=0.01%)까지 뛰었다. 올해 171bp로 출발한 외평채 가산금리는 지난 9일 168bp까지 내렸다가 다시 급등했다. 외평채 가산금리는 작년 11월 29일(175bp)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외평채 가산금리는 국제금융시장에서 유통되는 한국 국채의 수익률이다. 미국 국채에 대한 가산금리로 표기되며 신인도가 개선될수록 낮아진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유로존 신용등급 강등은 워낙 알려진 악재여서 국제금융시장 반응이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그리스 국채 관련 논의 진행이 난항에 부딪혀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한국 가산금리가 상승한 이유는 한국 외화채권 발행물량과 대기물량도 많아 시장에 피로감이 생겼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13일 뉴욕 장외시장에서 전날보다 2bp 하락한 165bp로 마감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 한국의 CDS프리미엄은 지난 3일 154bp에서 9일 171bp로 치솟는 등 불안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8~9월 금융위기 여파로 10월 4일 229bp까지 치솟았던 한국의 CDS 프리미엄은 10월 28일 127bp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하락폭의 절반 이상 뛰어올랐다. CDS는 채권을 발행한 기업이나 국가 등이 부도났을 때 손실을 보상해주는 금융파생상품이다. CDS 프리미엄의 상승은 국가 신용도가 나빠져 외화채권을 발행할 때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6개 국내 시중은행의 CDS 프리미엄 평균치는 198bp로 작년 10월 28일 169bp에 비해 올라간 상태다. 우리은행이 210bp로 가장 높다. 이어 하나은행 205bp, 국민은행 198bp, 신한은행 197bp, IBK 190bp, 산업은행 189bp 등 순이었다. ◇신용강등에 유럽 위기감 확산…亞경제도 불안 S&P가 유로존 국가 신용등급을 강등하자 유럽 재정위기가 보다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유로존 국가들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채권시장 등에서 자금 조달이 원활하지 않으면 구제금융을 신청하거나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를 맞는 국가가 나올 수 있다. 다음 달 국채 만기가 집중되는 이탈리아와 스페인이 특히 주목 대상이다. S&P는 재정위기에 시달리는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신용등급을 각각 두 단계씩 내렸다. 이들은 낮은 금리로 국채발행에 성공했지만, 다음 발행 때 입찰 금리가 큰 폭으로 뛸 수 있다. 은행들도 연쇄적으로 등급이 내려가 자금확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탈리아는 2월 531억유로를 시작으로 3월 442억유로, 4월에는 441억유로의 국채 만기를 맞는다. 올해가 만기인 전체 3천309억유로 가운데 40% 이상이 이 기간에 집중적으로 돌아온다. 스페인의 채권 만기 일정도 만만치 않다. 스페인의 2~4월 만기 도래액은 504억 유로로 올해 만기액의 36%를 차지한다. S&P가 후속 조치로 유럽재정안정기금(EFSF)의 등급을 내릴 가능성도 크다. EFSF 보증국가인 프랑스와 오스트리아의 등급이 최고등급(AAA)에서 AA+로 각각 한 단계씩 강등됐기 때문이다. EFSF에 참여하는 6개 국가중 'AAA' 국가가 4개로 줄었다. S&P는 EFSF의 신용등급 검토를 다음 주까지 마칠 예정이라고 밝혔다. LG경제연구원 신민영 경제연구실장은 "독일을 제외한 대부분 유로존 국가들의 등급이 강등됐다. 유럽 국가들은 신재정협약 등을 통해 문제 해결의 노력을 하겠지만, 디폴트가 발생하는 국가가 등장하면 세계 금융시장은 충격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유럽 상황이 다시 악화하면 미국경제가 유럽과는 달리 회복세를 보일 수 있다는 탈동조화(디커플링) 기대도 약해질 수 있다. 미국이 고용과 주택경기 지표 개선 등으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지만, 유럽 경제가 무너지면 미국 경제도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중국과 인도 등 아시아 경제에 대한 경고음도 만만치 않다. 중국은 물가 하락에 따라 지급준비율 인하 등 통화완화 정책의 여지가 생겼지만 주택시장을 중심으로 한 경기 하강 위험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올해 중국이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역자산 효과 탓에 경제성장률이 1~1.5%가량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지방정부 부채의 부실문제도 해결 기미가 없다. 인도는 중앙정부의 부채가 뇌관으로 지적되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적자가 목표치인 4.6%에서 5.5%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는 데다 루피화 약세로 외화채무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유럽은 위기의 원인이 상당 부분 파악이 된 상태고 이에 맞춰 해결책도 나오고 있지만, 아시아의 문제는 뚜렷한 원인도 없는 데다 국가별 상황이 달라 해결책을 찾기가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선거ㆍ북한 등 정치 리스크도 불안 가중 올해는 국내 정치 최대 이벤트인 대선과 총선이 예정돼 있다는 점도 경제적으로는 불안을 증폭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선거가 실시되면 대량의 정치자금이 풀려 시중에 유동성이 늘어난다. 이는 물가를 부추기는 요인이 된다.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1987년 이후 선거가 있었던 해의 시중 통화량 증가율은 선거가 없던 해보다 2%포인트가량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이 표심을 얻으려고 대중영합주의적 정책을 쏟아낼 가능성도 경제적 관점에서는 불안을 가중시킬 수 있다. 친서민적 정책이 기업에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증권 오성진 리서치센터장은 "선거는 친서민적일 수는 있어도 친기업적 이벤트는 아니다"라며 "수수료를 낮추거나 물가안정을 위해 통신비, 가스료, 전기료를 못 올리게 하면 기업 입장에서는 수익이 줄어든다"고 말했다. 이란 핵개발을 둘러싼 미국과 이란의 갈등이 악화돼 국제유가가 급등하면 물가상승 압력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고 미국이 군사적으로 대응하는 최악의 상황은 오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아직 지배적이지만 일촉즉발의 대치 상태는 예상치 못한 사태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란 핵과학자가 암살되고 이란이 그 배후로 미국과 이스라엘을 지목하면서 양측의 갈등은 최고조로 치닫는 양상을 보인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으로 북한과 관련한 위험도 커졌다. 북한 체제는 후계자 김정은을 인민군 최고사령관으로 추대하고 우상화 작업에 나서는 등 빠르게 안정을 찾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대외적으로 도발적 행동에 나설 가능성도 높다. 외교안보연구원은 최근 김정은이 안정적인 체제 확립을 위해 실적과 리더십을 과시하고자 올해 하반기나 내년 상반기에 장거리 미사일 실험이나 핵실험을 단행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