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성평등지수 소폭 상승…“의사결정 분야는 개선 필요”_스타 베트 또는 베타노_krvip

국가 성평등지수 소폭 상승…“의사결정 분야는 개선 필요”_베타 과정은 그만한 가치가 있습니다_krvip

지난해 국가 성평등지수가 소폭 오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여성가족부는 2018년 기준 국가 성평등지수는 전년도보다 1.2점 오른 72.9점이었고, 지역 성평등지수도 같은 기간 1.3점 상승한 75.7점으로 나타났다고 오늘(23일) 발표했습니다.

국가성평등지수는 ▲ 사회참여(경제활동·의사결정·교육훈련) 영역 ▲ 인권·복지(복지·보건·안전) 영역 ▲ 의식·문화(가족·문화정보) 영역 등 3개 영역·8개 세부 분야로 나눠 측정됩니다.

남녀 격차를 측정하는 지수로, 남성 수준 대비 여성 수준을 볼 수 있는데 완전한 성 평등 상태는 100점, 그 반대는 0점입니다.

영역별 점수를 보면 인권·복지 영역이 80.0점으로 성 평등 수준이 가장 높았다. 의식·문화 75.2점, 사회참여 영역 66.6점 순이었습니다. 8개 세부 분야 모두 지난 조사 때보다 점수가 올랐습니다.

보건 분야가 97.3점으로 가장 높았고, 의사결정은 전년도 대비 1.8점 올랐지만, 지수는 31.1점에 그쳐 8개 분야 중 가장 낮았습니다.

8개 분야를 구성하는 25개 지표 중에는 22개 지표가 2017년 대비 성 평등 수준이 상승했습니다.

육아휴직 성비(6.3점↑), 관리자 성비(3.6점↑), 직업교육 훈련 경험 성비(2.9점↑)의 성평등 지수는 전반적으로 올랐는데 반해 가족관계 만족도 성비(0.8점↓), 여가 만족도 성비(0.7점↓)는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전국 16개 지역 성 평등 수준을 상위·중상위·중하위·하위 등 4단계로 나눠 분석한 결과 대구·대전·부산·제주 등 4곳이 상위, 경남·경북·전남·충남 등 4곳이 하위 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 성평등지수도 국가 성평등지수와 같이 의사결정, 안전, 가족 분야가 다른 분야보다 지수가 낮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습니다.

이건정 여가부 여성정책국장은 "성평등지수를 발표한 이래 육아휴직 성비 등 성평등 수준은 점차 개선되고 있으나, 국회의원이나 4급 이상 공무원, 관리자 등 '의사결정' 분야는 개선이 필요하다"며 "변화된 사회상을 반영하고, 정책 활용을 높이기 위해 지수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